jpa
JPA Auditing 생성시간/수정시간 자동화
songjb
2023. 10. 3. 17:44
@CreationTimestamp와 @CreatedDate
- 하이버네이트 애노테이션 자체를 점점 사용하지 않는 추세이다.
- 생성자 또는 필드에서 초기화하지않는경우 NullPointErexception 발생
- 생성자 또는 필드에서 초기화하는 경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될 값과 객체값의 다르다.
@CreationTimestamp, @UpdateTimestamp
INSERT 쿼리가 실행될 때, 현재 시간을 값으로 사용하여 쿼리를 생성합니다.
이 값은 persist 또는 new 생성 시점이 아닌 실제 쿼리가 실행될 때(flush) 생성됩니다.
@Entity
public class Member {
@Id
@GeneratedValue(strategy = GenerationType.SEQUENCE)
private Long id;
private String name;
@CreationTimestamp
private LocalDateTime createdAt;
@UpdateTimestamp
private LocalDateTime updatedAt;
}
@Test
void 멤버생성() {
Member member = new Member();
member.setName("유저1");
System.out.println(member);
em.persist(member);
System.out.println(member);
em.flush();
System.out.println(member);
}
@PrePersist, @PreUpdate
엔티티 클래스 라이프사이클 이벤트에 대한 콜백 메서드를 지정합니다.
엔티티의 영속성이 변경되는 생성 > 수정 > 삭제 이 흐름을 엔티티 라이프 사이클 이벤트라고 한다.
@Entity
public class Member {
@Id
@GeneratedValue(strategy = GenerationType.SEQUENCE)
private Long id;
private String name;
@CreationTimestamp
private LocalDateTime createdAt;
@UpdateTimestamp
private LocalDateTime updatedAt;
@PrePersist
public void PrePersist(){ //영속성컨텍스트 일어나기 전에 시행
LocalDateTime now = LocalDateTime.now();
createdDate = now;
lastModifiedDate = now;
}
@PreUpdate
public void PreUpdate(){ // 업데이트 일어나기 전에 실행
lastModifiedDate = LocalDateTime.now();
}
}
@Prepersist : 새로운 Entity에 대해 persist가 호출되기 전
@Postpersist : 새로운 Entity에 대해 persist가 호출된 후
@PreRemove : Entity가 제거되기 전
@PostRemove : Entity가 제거된 후
@PreUpdate : Entity가 업데이트되기 전
@postUpdate : Entity가 업데이트된 후
@PostLoad : Entity가 로드된 후
@EnableJpaAuditing
@EnableJpaAuditing
@SpringBootApplication
public class Application {
...
}
@Getter
@MappedSuperclass
@EntityListeners(AuditingEntityListener.class)
public class TimeStamp {
@CreatedDate
private LocalDateTime createdAt;
@CreatedBy
@ManyToOne
private User createdBy;
@LastModifiedDate
private LocalDateTime modifiedAt;
@LastModifiedBy
@ManyToOne
private User modifiedBy;
}
@Entity
@EntityListeners(AuditingEntityListener.class)
public class Member{
@Id
@GeneratedValue(strategy = GenerationType.SEQUENCE)
private Long id;
private String name;
@CreatedDate
private LocalDateTime createdDate;
@LastModifiedDate
private LocalDateTime modifiedDate;
}
저장시점에서는 등록일==수정일, 등록자==수정자이다. 데이터 중복 같지만 유지보수 관점에서는 이게 더 편리하다.
만약 저장시점에 등록일, 등록자만 입력하고 싶다면 @EnableJpaAuditing(modifyOnCreate = false) 옵션을 사용하면 된다.
https://velog.io/@wonizizi99/SpringData-JPA-Auditing
https://www.inflearn.com/questions/258989/creationtimestamp와-createddate의-선택